Check out this ShareGPT conversation
This is a conversation between a human and a GPT-3 chatbot. The human first asks: 아래에 작성한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를 보고 이 회사의 상태가 어떤지 분석해줘. 계정과목 2021.12.31 2020.12.31 2019.12.31 자산 Ⅰ. 유동자산 106,844,549 9,309,121 6,224,481 Ⅱ. 비유동자산 7,600,000 7,600,000 0 자산 총계 114,444,549 16,909,121 6,224,481 부채 Ⅰ. 유동부채 100,201,180 14,909,121 4,224,481 Ⅱ. 비유동부채 0 0 0 부채 총계 100,201,180 14,909,121 4,224,481 자본 Ⅰ. 자본금 2,000,000 2,000,000 2,000,000 Ⅱ. 자본잉여금 0 0 0 Ⅲ. 자본조정 0 0 0 Ⅳ. 기타포괄손익누계 0 0 0 Ⅴ. 이익잉여금 12,243,369 0 0 자본 총계 14,243,369 2,000,000 2,000,000 (1) 부채에 대한 사항 (차입금 내역) - 차입금 없음 ㅇ 요약 손익계산서 (단위 : 원) 계정과목 2021.12.31 2020.12.31 2019.12.31 매출액 156,374,552 49,850,000 57,800,000 매출원가 0 0 0 매출총이익 156,374,552 49,850,000 57,800,000 판관비 147,693,080 50,852,164 57,805,826 영업손익 8,681,472 -1,002,164 5,826 영업외수익 3,604,726 1,002,265 6,016 영업외비용 42,829 101 190 법인세비용차감전손익 12,243,369 0 0 법인세비용 0 0 0 당기순손익 12,243,369 0 0. The GPT-3 chatbot then responds: <div><p>위의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.</p><ol><li><p>자산 증가: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. 2019년 대비 2021년 유동자산은 약 17배 증가하였고, 비유동자산은 2020년부터 7,600,000원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. 이는 회사의 성장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.</p></li><li><p>부채 증가: 유동부채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2019년 대비 2021년 유동부채는 약 23배 증가하였습니다. 부채의 증가는 기업의 레버리지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, 급격한 증가는 잠재적인 리스크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.</p></li><li><p>자본 증가: 이익잉여금이 2021년에 12,243,369원으로 증가하였으며, 자본금은 2019년부터 2,000,000원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. 자본의 증가는 기업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나타냅니다.</p></li><li><p>매출 증가: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하였으며, 2021년에는 156,374,552원으로 2020년 대비 약 3배 증가하였습니다. 이는 회사의 성장세를 보여주는 긍정적인 지표입니다.</p></li><li><p>영업손익 개선: 영업손익은 2020년에는 -1,002,164원으로 적자였지만, 2021년에는 8,681,472원으로 흑자로 전환되었습니다. 이는 회사의 영업 활동이 개선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.</p></li><li><p>당기순손익: 당기순손익이 2021년에는 12,243,369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. 이는 기업의 순이익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.</p></li></ol><p>종합적으로 봤을 때, 이 회사는 매출 증가, 영업손익 개선, 당기순손익 증가 등 성장 지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 그러나 급격한 부채 증가로 인한 리스크도 있으므로, 이 부</p></div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