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젝트 소개
기획의도
미디어 매체의 가속화에 따라 한국 역사의 왜곡, 문화강탈 등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우리의 고유문화 확립과 비판적 사고를 위해 기획
교육목표
•
발해의 유적 유물을 탐구하여 공통체적 사고와 비판적인 사고 함양
•
우표의 기능과 역할에 기반 한 저작권 교육 진행, 창작자로서의 기본지식 안내
•
한국의 미를 주제로 제작된 AR우표 디자인을 메타버스에서 전시함으로써 디지털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제시
전체 커리큘럼
주제에 마우스를 올려 OPEN을 클릭하면 세부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.
프로젝트 진행 사진
발해건국과정을 연극으로 푼 역사(4차시)
디지털 드로잉으로 우표디자인 해보기(10차시)
작가 작품선정 후 스토리텔링(5차시)
메타버스 전시(12차시)
참여 소감(혹은 참여자 반응)
참여 학생들의 의견입니다.
•
역사를 융합된 예술로 접하게 되어 역사적 인물, 유물, 문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.
•
오랜만에 콜라주 기법으로 표현해보니 흥미롭고 재미있게 느껴졌다.
•
재료가 다양해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서 작업하기에 좋았다.
•
작품과 기술이 융합된 점이 신기하고 흥미로웠고, AR기술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.
프로젝트를 마무리하며
디지로그상회의 팀원들은 동북공정 이슈에 대해 고민하였으며 ‘우리는 우리 것을 올바르게 지킬 수 있을까’에 대한 질문으로 프로그램을 만들게 되었습니다. 이를 (정치적이지 않은) 교육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팀원들은 많은 고민과 리서치를 했고, 모든 것을 포함하고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‘우표’를 통해 우리의 생각과 얼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. 본 프로그램은 사라져가는 우표에 대한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었기에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. 그리고 앞으로 대한민국을 이끌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을 교육적으로 융합하여 제안할 수 있었기에 보람이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었던 것 같습니다.
참여그룹 팀원 소개
주효정(예술가)
•
소속: SMIT Ubia Lab/서울문화재단 TA
주요경력
•
2022.~, 서울문화재단 청소년 예술로 함께 TA
•
성남문화재단 AR Urban Museum 전시 및 콘텐츠 개발 매니저
•
2019~2021. 제 2창의예술교육센터, 융복합 학교뮨화예술교육 콘텐츠 기획 및 운영
•
서울문화재단 예술로 플러스 TA
강지윤(예술가)
•
소속: 공연예술교육 넘나들이/대표
주요경력
•
2020~. 영등포문화재단 청소년창의예술교육센터 예술실 프로그램 자문 및 디자인
•
연극 ‘안녕하시개’ 연출 및 출연 / 문래예술공장 유튜브
•
2019~2021. 인천형 학교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
•
2013~2020. 서울 꿈다락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디자인 및 실행
김시내(예술가)
•
소속: SMIT/겸임교수,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/학교문화예술강사
주요경력
•
2006~.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학교문화예술강사(애니메이션)
•
2019~.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외래교수, 서울미디어대학원 겸임교수
•
강원도 ‘중독’ 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(나란히 주관)
•
2016~2019. 한국메세나협의회(경총) 시각예술 기획 및 실행(지역아동센터)
모미아(교사)
•
소속: 명지고등학교
문화예술교육 관련 운영실적
•
프랑스 방과후학교(아틀리에) / 주관: 서울시교육청
•
2019~2020. 협력종합예술지원사업(뮤지컬) / 주관: 서울시교육청